寶積念佛堂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寶積念佛堂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10)
    • 불가록(不可錄) 차례,서문,기타 안내 (13)
    • 불가록(不可錄) 음욕 모든 불행의 씨앗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경계하는 격언 (32)
    • 불가록(不可錄) 불로장생과 자손 번성 비결 (7)
    • 불가록(不可錄) 음욕 참음은 만고 제일에 등룡문 (41)
    • 불가록(不可錄) 음욕 패가망신하는 천벌 (39)
    • 불가록(不可錄) 참회와 속죄는 천심도 움직인다 (15)
    • 불가록(不可錄) 사음 12해악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가라앉히는 사유 관찰 (3)
    • 불가록(不可錄) 적어도 사음만은 하지 말세 (1)
    • 불가록(不可錄) 건강 장수 위한 성욕에 절제와 금.. (1)
    • 불가록(不可錄) 부록 (9)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목차 (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료범사훈 (4)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전기 및 서문 (6)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부록 (12)
    • 채식명상 20년. 살생과 식육의 고백, 참회 (16)
    • 인광대사가언록. 채식단상 몇 조각 (1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채식명상 (14)
    • 채식명상 20년. 활어회와 능지처사 (9)
    • 채식명상 20년. 간디의 법률가 정신과 채식주의 (6)
    • 채식명상 20년. 목차, 서문 (4)
    • 인광대사가언록. 부록 (10)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에 요긴한 나침반(경전)들 (16)
    • 인광대사가언록. 재가 수행 정진하세 (4)
    • 인광대사가언록. 궁금증 풀고 정견으로 정진하세 (22)
    • 인광대사가언록. 염불과 참선은 본디 둘이 아니건만 (3)
    •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4)
    • 인광대사가언록. 수행인의 마음가짐 오직 정성과 공.. (1)
    • 인광대사가언록. 생사 해탈을 위한 보리심 (9)
    • 인광대사가언록. 마음 닦고 염불하는 수행의 요령 (11)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은 믿음과 발원지닌 염불로 (5)
    •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7)
    • 인광대사가언록. 정토(염불) 위에 법문이 없소 (1)
    • 의심끊고 염불하세. 인광대사 편지설법 (25)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하 (22)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상 (14)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5)
    • 의심끊고 염불하세. 천태지자대사 정토십의론 (10)
    • 새 책 소개. 포청천과 청렴정직 (1)
    • 새 책 소개. 제갈량 평전 (1)
    • 새 책 소개. 四知 (1)
    • 새 책 소개. 부처님 마지막 가르침 유교경 (56)
    • 새 책 소개. 고행두타 묘림스님 구도기 (51)
    • 새 책 소개. 법 없이도 잘사는 법 (1)
    • 학술논문 (56)
    • 시론 (8)
    • 새 책 소개 (2)

검색 레이어

寶積念佛堂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 철오 선사(徹悟禪師)의 간략한 전기

    2023.01.10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자서(自序)

    2023.01.10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원서(原序)

    2023.01.10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중각철오선사어록서

    2023.01.10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철오선사어록 서문

    2023.01.10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철오 선사(徹悟禪師)의 간략한 전기

철오 선사(徹悟禪師)의 간략한 전기 선사의 휘(諱)는 제성(際醒)이고, 자(字)는 철오(徹悟)며, 또 다른 자는 눌당(訥堂)인데, 별호(別號)는 몽동(夢東)이다. 북경 동쪽 하북성(河北省)의 풍윤현(豊潤縣) 사람으로, 속세의 성(姓)은 마(馬)씨인데, 아버지의 휘는 만장(萬璋)이고, 어머니는 고(高)씨이다. 선사는 어려서부터 특출하고 기이하였으며, 자라면서 책 읽기를 좋아하여 경전과 역사를 비롯한 여러 서적을 두루 열람하지 않은 게 없을 정도였다. 22살 때 큰 병을 앓으면서 허깨비 같은 육신이 덧없음을 깨닫고, 마침내 출가할 뜻을 품었다. 병이 낫자, 방산현[房山縣]11)에 가서 삼성암(三聖庵)의 영지(榮池) 노스님 아래 귀의하여 삭발하고 출가하였다. 이듬해 수운사(岫雲寺)에 가서 항실(恒實) 율사로부..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2023. 1. 10. 00:13

자서(自序)

자서(自序) 나는 건륭(乾隆) 38년 계사(癸巳: 1773)년부터 수도(북경)의 광통사(廣通寺)에서 주지를 맡아 대중을 거느리고 참선 수행을 하면서, 틈틈이 이런 말 저런 말을 지껄이며 붓으로 기록해 두었다. 42년 정유(丁酉: 1777)년에 이르러, 숙세의 두터운 업장으로 말미암아 온갖 질병이 다발처럼 몰려들었다. 그래서 교종의 5정심관(五停心觀)12)이 우리 유정(有情) 중생들에겐 장애가 많음을 느끼고, 념불 수행으로 다스리기로 작정하였다. [5정심관(五停心觀): 다섯 가지 마음의 허물을 멈추게 하는 다섯 가지 관찰사유의 법문으로, 성문승이 맨 처음 불도에 입문하는 수행법. 첫째 탐욕심을 멈추는 부정관(不淨觀), 둘째 진에심을 멈추는 자비관(慈悲觀), 셋째 치암심[無明]을 멈추는 인연관(因緣觀), 넷..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2023. 1. 10. 00:12

원서(原序)

원서(原序) 세상에서 정토념불 수행을 칭송하고 찬탄한 것은 진(晋)나라 때 혜원(慧遠) 법사로부터 시작되었다. 위로 우러러 부처님의 대자비를 체득하고 중생 제도의 문을 크게 활짝 열어, 연못을 파고 련꽃을 심은 다음, 념불 법당을 건립하고 극락 왕생을 발원하신 것이다. 이에 18분의 어진 대중[賢衆]과 123인의 청신(淸信) 대중이 모여 다 함께 자재력(自在力)을 얻었으니, 념불하면서도 념불함이 없고[念而無念], 생겨남이 없으면서도 극락에 왕생하셨다.[無而無生] (념불 수행으로 무념무상의 경지에 들고, 무생법인을 얻어 극락왕생하셨다.) 그 마음의 인가[心印]13)가 대대로 전해 내려와, 지금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계속된 것이다. [심인(心印): 마음의 도장, 또는 마음의 인가(印可)·인정(印定)의 뜻으로..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2023. 1. 10. 00:12

중각철오선사어록서

중각철오선사어록서(重刻徹悟禪師語錄序) 내가 철오 선사의 유고(遺稿)를 편집하여 책으로 내게 되었다. 어떤 사람이 이렇게 물었다. “념불하여 극락 왕생하는 길에도 중요한 비결이 있습니까?” 그래서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확실한 믿음[確信]이 있을 따름입니다. 정토 법문에는 세 가지 기본 밑천이 있는데, 믿음[信]과 발원[願]과 념불 수행[行]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믿음만 있으면, 발원과 념불 수행은 저절로 그 안에 함께 있기 때문입니다.”14) [근래 전래된 기독교에서 ‘믿음[信]·소망[願]·사랑의 실천[行]’을 말하면서, 특히 예수님(복음)에 대한 확실한 믿음 하나만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교리와 일응 상통하는 것처럼 대비된다.] 예전에 단화장(單華藏) 스승님[夫子]을 따라 공부하던 때에, 당시의 고승대덕..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2023. 1. 10. 00:12

철오선사어록 서문

철오선사어록(徹悟禪師語錄) 서문 철오선사어록은 진실로 정토종에서 가장 중요한 가르침을 일깨우신 법문이다. 만약 우익(嶺益) 노인(老人)보다 앞에 있었더라면, 결정코 『정토십요(淨土十要)』에 선정되어 수록되었을 것이다. 그러니 법안(法眼)을 지닌 자라면, 과연 누가 이 책을 파묻혀 사라지도록 내버려 두고 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한 까닭에 전이암 거사가 가경 24년(1819)에 중요한 핵심 내용만 발췌 요약하여 ‘철오선사유고(徹悟禪師遺稿)’라는 이름으로 남쪽에서 간행하여 유포시켰다. 그 뒤 동치[同治: 청나라 목종(穆宗)의 연호] 7년(戊辰: 1868)에 항주(杭州)에서 새로이 출판[重刻]하였고, 동치 10년(辛未: 1671)에는 양인산(楊仁山) 거사가 또 다시 약간 삭제 편집하면서 이름도 ‘철오선사..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2023. 1. 10. 00:1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寶積念佛堂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