寶積念佛堂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寶積念佛堂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10)
    • 불가록(不可錄) 차례,서문,기타 안내 (13)
    • 불가록(不可錄) 음욕 모든 불행의 씨앗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경계하는 격언 (32)
    • 불가록(不可錄) 불로장생과 자손 번성 비결 (7)
    • 불가록(不可錄) 음욕 참음은 만고 제일에 등룡문 (41)
    • 불가록(不可錄) 음욕 패가망신하는 천벌 (39)
    • 불가록(不可錄) 참회와 속죄는 천심도 움직인다 (15)
    • 불가록(不可錄) 사음 12해악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가라앉히는 사유 관찰 (3)
    • 불가록(不可錄) 적어도 사음만은 하지 말세 (1)
    • 불가록(不可錄) 건강 장수 위한 성욕에 절제와 금.. (1)
    • 불가록(不可錄) 부록 (9)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목차 (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료범사훈 (4)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전기 및 서문 (6)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부록 (12)
    • 채식명상 20년. 살생과 식육의 고백, 참회 (16)
    • 인광대사가언록. 채식단상 몇 조각 (1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채식명상 (14)
    • 채식명상 20년. 활어회와 능지처사 (9)
    • 채식명상 20년. 간디의 법률가 정신과 채식주의 (6)
    • 채식명상 20년. 목차, 서문 (4)
    • 인광대사가언록. 부록 (10)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에 요긴한 나침반(경전)들 (16)
    • 인광대사가언록. 재가 수행 정진하세 (4)
    • 인광대사가언록. 궁금증 풀고 정견으로 정진하세 (22)
    • 인광대사가언록. 염불과 참선은 본디 둘이 아니건만 (3)
    •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4)
    • 인광대사가언록. 수행인의 마음가짐 오직 정성과 공.. (1)
    • 인광대사가언록. 생사 해탈을 위한 보리심 (9)
    • 인광대사가언록. 마음 닦고 염불하는 수행의 요령 (11)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은 믿음과 발원지닌 염불로 (5)
    •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7)
    • 인광대사가언록. 정토(염불) 위에 법문이 없소 (1)
    • 의심끊고 염불하세. 인광대사 편지설법 (25)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하 (22)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상 (14)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5)
    • 의심끊고 염불하세. 천태지자대사 정토십의론 (10)
    • 새 책 소개. 포청천과 청렴정직 (1)
    • 새 책 소개. 제갈량 평전 (1)
    • 새 책 소개. 四知 (1)
    • 새 책 소개. 부처님 마지막 가르침 유교경 (56)
    • 새 책 소개. 고행두타 묘림스님 구도기 (51)
    • 새 책 소개. 법 없이도 잘사는 법 (1)
    • 학술논문 (56)
    • 시론 (8)
    • 새 책 소개 (2)

검색 레이어

寶積念佛堂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 <차례>

    2023.01.05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일러두기

    2023.01.05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가언록(嘉言錄)』 중판(重版) 서문

    2023.01.05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인광 약력

    2023.01.05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한글판 서문

    2023.01.05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인광 약력

    2023.01.03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한글판 서문

    2023.01.02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차례>

일러두기 『가언록(嘉言錄)』 중판(重版) 서문 한글판 서문 : 염불 수행으로 극락정토에 왕생합시다 - 청화 1. 정토(염불) 위에 법문이 없소 2. 극락왕생은 믿음과 발원 지닌 염불 수행으로 1) 진실한 믿음과 간절한 발원 2) 의심 끊고 믿음 내세 3) 믿음과 발원을 함께 충분히 갖추세 3. 마음 닦고 염불하는 수행의 요령 1) 염불은 어떻게 하는가? 2) 업습의 기운[習氣]을 다스리는 방법 3) 마음가짐과 품격 세움[存心立品] 4) 각 수행 방법에 대한 평가 5) 수행인들이여, 힘써 노력하세! 4. 생사(生死) 해탈을 위한 보리심 1) 사람 목숨 덧없음을 경책함 2) 오로지 부처님 힘에 의지하길 권함 3) 임종이 몹시 중요하고 절실함을 알림 4) 임종에 갖추어야 할 지혜로운 배와 노[臨終舟楫] 5. ..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5. 00:07

일러두기

일러두기 1. 『인광대사가언록』은 대사께서 주로 불자들에게 서신으로 개별 설법한 글이 많고, 그 밖에 서문이나 잡지에 발표한 글들을 함께 모아, 그 가운데 중요한 핵심 내용만 발췌하여 분류 편집한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의 형식 체계와 문맥 전개가 전문 집필한 저술만큼 아주 통일되지는 못한 게 사실이고, 더러 겹치는 내용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시 대사께서 사실상 편집을 감수(監修)하셨고, 편집 체계도 큰 흐름은 일관하고 있으며, 겹치는 내용은 반복할 만한 필요와 가치가 충분한 중요 법문이므로, 독자 여러분께서는 싫증내거나 따분하게 여기지 마시고 정독(精讀)해 주십시오. 길이란 반복해서 다님으로써 비로소 생겨나고 크게 뚫리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도(道)와 진리도 반복(反復)이 중요한 본질 속성입니다...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5. 00:07

『가언록(嘉言錄)』 중판(重版) 서문

『가언록(嘉言錄)』 중판(重版) 서문 정토 법문은 이치는 지극히 높고 심오하지만, 그 일은 몹시 간단하고 쉽다오. 그래서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고 지견이 탁월한 사람들은, 정토 법문을 그저 어리석은 범부 중생의 일로 깔보고 수행하려 들지 않소. 정토 법문이 시방삼세 모든 부처님께서, 위로 불도를 성취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는, 맨 처음이자 맨 끝인 궁극 법문인 줄을 그들이 어떻게 알겠소? 어리석은 범부 중생도 닦을 수 있다고 정토 법문을 아주 깔보는데, 그렇다면 『화엄경』은 어찌 보지도 않는단 말이오? 보현보살과 같이 이미 증득한 경지가 부처님이나 다를 바 없는 보살들도, 오히려 십대원왕(十大願王)으로 서방 극락세계 왕생을 회향하여 부처님 과위를 원만히 성취하려고 발원하지 않소? 정토 법문을 깔보고 닦으..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5. 00:06

인광 약력

인광 약력 인광대사가 친히 쓴 약력 : 민국 28년(1939:79세) 외국인(일본인들)과 필담(筆談)한 내용. 1. 경력 : 청말(淸末) 광서(光緖) 7년(1881) 출가, 8년 수계(受戒). 12년(1886) 북경 홍라산(紅螺山)에 갔다가 17년(1891) 북경 원광사(圓廣寺)로 옮김. 19년(1893) 절강성(浙江省) 보타산(普陀山) 법우사(法雨寺)로 가서 한료(閑寮 : 監院과 같이 財務 담당인 듯)를 맡았으나 그 뒤 30여 년 동안 어떠한 감투도 쓰지 않음. 민국 17년(1928) 광동(廣東)의 귀의 제자가 홍콩[香港]으로 가기를 청하여 보타산을 떠나 잠시 상해(上海) 태평사(太平寺)에 머물음. 18년(1929) 봄 출발하려 했으나 책 인쇄 작업 때문에 못 가고, 19년 이래 소주(蘇州) 보국사(報..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5. 00:05

한글판 서문

한글판 서문 염불 수행으로 극락정토에 왕생합시다! 이 글은 『인광대사가언록(印光大師嘉言錄)』 번역 단행본의 권두 법문을 권청(勸請)하러 성륜사(聖輪寺)를 방문했을 때, 청화 큰스님께서 때마침 봉행하던 천도재의 회향 법문으로 설하신 것인데, 필시 제 염원을 미리 아신 듯 그 내용이 안성맞춤이라, 이튿날 큰스님을 친견한 자리에서 그 뜻을 여쭙고 허락을 받아, 『가언록』의 한글 번역판의 서문으로 대신 싣습니다. 법문의 제목은 독자의 편의를 위해 부득이 옮긴이가 임의로 붙인 것입니다. - 보적(寶積) 합장 우리가 믿고 있는 불교는 바로 우주의 종교입니다. 따라서 단지 우리 인간의 행복만을 위하는 그런 종교는 아닙니다. 물론 기독교나 이슬람교나 힌두교나 다 마찬가지입니다만, 불교는 특히 어느 종파의 진리도 부처님..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5. 00:03

인광 약력

인광 약력 인광대사가 친히 쓴 약력 : 민국 28년(1939:79세) 외국인(일본인들)과 필담(筆談)한 내용. 1. 경력 : 청말(淸末) 광서(光緖) 7년(1881) 출가, 8년 수계(受戒). 12년(1886) 북경 홍라산(紅螺山)에 갔다가 17년(1891) 북경 원광사(圓廣寺)로 옮김. 19년(1893) 절강성(浙江省) 보타산(普陀山) 법우사(法雨寺)로 가서 한료(閑寮 : 監院과 같이 財務 담당인 듯)를 맡았으나 그 뒤 30여 년 동안 어떠한 감투도 쓰지 않음. 민국 17년(1928) 광동(廣東)의 귀의 제자가 홍콩[香港]으로 가기를 청하여 보타산을 떠나 잠시 상해(上海) 태평사(太平寺)에 머물음. 18년(1929) 봄 출발하려 했으나 책 인쇄 작업 때문에 못 가고, 19년 이래 소주(蘇州) 보국사(報..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3. 00:15

한글판 서문

한글판 서문 염불 수행으로 극락정토에 왕생합시다! 이 글은 『인광대사가언록(印光大師嘉言錄)』 번역 단행본의 권두 법문을 권청(勸請)하러 성륜사(聖輪寺)를 방문했을 때, 청화 큰스님께서 때마침 봉행하던 천도재의 회향 법문으로 설하신 것인데, 필시 제 염원을 미리 아신 듯 그 내용이 안성맞춤이라, 이튿날 큰스님을 친견한 자리에서 그 뜻을 여쭙고 허락을 받아, 『가언록』의 한글 번역판의 서문으로 대신 싣습니다. 법문의 제목은 독자의 편의를 위해 부득이 옮긴이가 임의로 붙인 것입니다. - 보적(寶積) 합장 우리가 믿고 있는 불교는 바로 우주의 종교입니다. 따라서 단지 우리 인간의 행복만을 위하는 그런 종교는 아닙니다. 물론 기독교나 이슬람교나 힌두교나 다 마찬가지입니다만, 불교는 특히 어느 종파의 진리도 부처님..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2023. 1. 2. 18:2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寶積念佛堂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