寶積念佛堂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寶積念佛堂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10)
    • 불가록(不可錄) 차례,서문,기타 안내 (13)
    • 불가록(不可錄) 음욕 모든 불행의 씨앗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경계하는 격언 (32)
    • 불가록(不可錄) 불로장생과 자손 번성 비결 (7)
    • 불가록(不可錄) 음욕 참음은 만고 제일에 등룡문 (41)
    • 불가록(不可錄) 음욕 패가망신하는 천벌 (39)
    • 불가록(不可錄) 참회와 속죄는 천심도 움직인다 (15)
    • 불가록(不可錄) 사음 12해악 (3)
    • 불가록(不可錄) 음욕 가라앉히는 사유 관찰 (3)
    • 불가록(不可錄) 적어도 사음만은 하지 말세 (1)
    • 불가록(不可錄) 건강 장수 위한 성욕에 절제와 금.. (1)
    • 불가록(不可錄) 부록 (9)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목차 (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료범사훈 (4)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전기 및 서문 (6)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부록 (12)
    • 채식명상 20년. 살생과 식육의 고백, 참회 (16)
    • 인광대사가언록. 채식단상 몇 조각 (11)
    • 운명을 뛰어 넘는 길. 채식명상 (14)
    • 채식명상 20년. 활어회와 능지처사 (9)
    • 채식명상 20년. 간디의 법률가 정신과 채식주의 (6)
    • 채식명상 20년. 목차, 서문 (4)
    • 인광대사가언록. 부록 (10)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에 요긴한 나침반(경전)들 (16)
    • 인광대사가언록. 재가 수행 정진하세 (4)
    • 인광대사가언록. 궁금증 풀고 정견으로 정진하세 (22)
    • 인광대사가언록. 염불과 참선은 본디 둘이 아니건만 (3)
    •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4)
    • 인광대사가언록. 수행인의 마음가짐 오직 정성과 공.. (1)
    • 인광대사가언록. 생사 해탈을 위한 보리심 (9)
    • 인광대사가언록. 마음 닦고 염불하는 수행의 요령 (11)
    • 인광대사가언록. 극락왕생은 믿음과 발원지닌 염불로 (5)
    • 인광대사가언록. 차례, 서문, 일러두기 (7)
    • 인광대사가언록. 정토(염불) 위에 법문이 없소 (1)
    • 의심끊고 염불하세. 인광대사 편지설법 (25)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하 (22)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상 (14)
    • 철오선사어록. 철오선사어록 (5)
    • 의심끊고 염불하세. 천태지자대사 정토십의론 (10)
    • 새 책 소개. 포청천과 청렴정직 (1)
    • 새 책 소개. 제갈량 평전 (1)
    • 새 책 소개. 四知 (1)
    • 새 책 소개. 부처님 마지막 가르침 유교경 (56)
    • 새 책 소개. 고행두타 묘림스님 구도기 (51)
    • 새 책 소개. 법 없이도 잘사는 법 (1)
    • 학술논문 (56)
    • 시론 (8)
    • 새 책 소개 (2)

검색 레이어

寶積念佛堂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 인과응보의 사실

    2023.01.01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인과응보의 이치

    2023.01.01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운명을 바꾸려는 노력이 진정한 수행

    2023.01.01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 채식은 지계와 자비 수행의 밑바탕

    2023.01.01 by 明鏡止水 淵靜老人

인과응보의 사실

1) 인과응보의 사실 불경에 “보살은 원인을 두려워하고, 중생은 결과를 두려워한다[菩薩畏因, 衆生畏果.].”는 말이 있소. 보살은 나쁜 원인을 끊어 버리기 때문에, 죄악과 업장이 사라지고 공덕이 원만히 쌓여 가서, 끝내 부처가 되고야 만다오. 그런데 중생은 늘 나쁜 원인만 지으면서, 나쁜 과보를 피하려고 하니, 이는 비유하자면 햇빛 아래 서서 그림자가 생기질 않길 바라는 것과 같아서, 정신없이 헛수고만 하는 격이오. 흔히 뭘 모르는 어리석은 이는, 조그만 착한 일을 해 놓고는 큰 복을 바라기 일쑤요. 그러다가 한번 역경이라도 만나면, 곧장 “착한 일을 하는데도 재앙을 당하니, 인과 법칙이란 말짱 빈말이다.”라고 불평하오. 그로부터 처음 품었던 마음을 후회하고 뒤꽁무니 빼면서, 도리어 불법(佛法)을 비방하..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2023. 1. 1. 21:20

인과응보의 이치

2) 인과응보의 이치 인과응보의 법칙은 불교에 입문하는 첫걸음이자, 유교의 「대학(大學)」에서 뜻을 정성스럽게 하고[誠意] 마음을 바로 하며[正心] 자신을 닦고[修身] 집안을 거느리며[齊家] 나라를 다스리고[治國] 천하를 평정하는[平天下] 중요한 바탕이기도 하오. 그러므로 인과 법칙은 세간이나 출세간의 성인 모두가, 천하를 다스리고 중생을 제도하는 중대한 권능이오. 지금 세상에서 만약 인과응보를 나라 구하고 백성 구제하는 급선무로 삼지 않는다면, 설령 그대의 지혜와 재주와 도덕이 제아무리 높고 뛰어나다고 할지라도, 모두 헛것에 지나지 않게 되오. 도리(道理)를 말하지 않으면, 왕법(王法)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오. 옛날 성현들은 어느 누구도, 전전긍긍하며 자기를 꽉 붙잡아 지니지[操持] 않은 사람이 없었..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2023. 1. 1. 21:20

운명을 바꾸려는 노력이 진정한 수행

3) 운명을 바꾸려는 노력이 진정한 수행 『화엄경』에 이르기를, “일체 중생이 모두 여래의 지혜와 복덕 형상을 갖추었으나, 다만 망상과 집착으로 말미암아 증득할 수 없을 뿐”이라고 하였소. 그래서 지혜와 복덕의 형상은 중생과 부처가 함께 갖춘 천성의 덕[性德]인데, 중생은 망상과 집착에 싸여 있고, 부처는 이를 여읜 점이, 서로 판연히 다른 (후천) 수행의 덕[修德]임을 알 수 있소. 수행의 덕에는 순응과 거역이 있소. 천성에 순응하여 수행하면, 닦을수록 더욱 도에 가까워지고, 지극한 경지에 이르러서는 확철대오하고 증득하게 되오. 반면 천성에 거역하여 수행하면, 닦을수록 도로부터 멀어지고, 결국에는 영원히 삼악도에 떨어지고 만다오. 이러한 원리를 파악한다면, 어리석은 자도 현명해질 수 있고, 현명한 자도..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2023. 1. 1. 21:19

채식은 지계와 자비 수행의 밑바탕

4) 채식은 지계와 자비 수행의 밑바탕 천지의 큰 덕은 만물을 낳아 기르는 생명력이고, 여래의 큰 도는 중생을 불쌍히 여겨 제도하는 자비심이라오. 사람과 만물이 비록 모습은 다를지라도, 심성은 한 가지라오. 무릇 보살·벽지불·성문의 성현 삼승(三乘)과 천상·인간·아수라·축생·아귀·지옥의 평범한 육도 중생은, 여래께서 보시기에는 누구나 똑같은 한 자식에 불과하오. 왜냐하면, 그들 모두 불성(佛性)을 지니고 있으며, 또 모두 부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오. 성현의 삼승은 그만 두고라도, 육도 중생만 해도 그렇소. 겉보기에는 비록 그들이 처한 신분 지위나 그들이 각자 받는 고통과 쾌락이 하늘과 땅처럼 현격히 차이 나긴 하지만, 그들 모두 미혹과 업장을 다 끊지는 못하여, 아직 생사윤회를 벗어나지 못했기는 매일..

인광대사가언록. 콩 심은 데 콩, 팥 심은 데 팥 2023. 1. 1. 21:1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寶積念佛堂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